PIERS2019 Tomoki SL Prugger Suzuk

Research

PIERS2019 report

Tomoki S. L. Prugger Suzuki (M2)

지난 6월 17일부터 20일까지 로마에서 열린 PIERS2019 컨퍼런스에 참석했습니다. 1800명의 참가자와 20개 이상의 세션이 동시에 진행된 역대 최대 규모의 PIERS였습니다. 세션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많은 기조연설과 초청연설이 진행되어 어떤 세션에 참석해야 할지 결정하기 어려웠습니다. 동시 다발적인 강연이 많아서 어떤 세션에 참석할지 결정하기 어려웠다.

컨퍼런스 외에도 로마는 그 자체의 분위기와 풍미가 있는 아름다운 도시로, 첫인상은 더럽고 혼란스럽지만 깊이 빠져들면 놀라운 아름다움과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함. 많은 참가자가 등록했지만 세션은 20~30개 이상 열리지 않았음. 청취자: 로마는 컨퍼런스 행사장 밖에서도 큰 매력을 느낄 수 있었을 것 같은데, 4일 동안 논의된 포토닉스 분야는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나노포토닉스는 항상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하고 흥미로운 강연이 많았는데, 예를 들어, "나노소재로 강화된 통합 Photonics" - WGM 마이크로 공진기에 통합된 나노물질의 잠재력에 대해 논의하는 Armani 교수 센싱 및 레이저의 향상된 기능을 논의하는 Armani 교수의 "Nanomaterial-enhanced Integrated Photonics", Prucnal 교수의 "Progress on Neuromorphic Silicon Photonics"와 같은 강연이 있었다. Prucnal - 1980년 이후 포토닉스가 어떻게 실용화되기까지 큰 진전을 이루었는지를 설명한다.

메타물질과 플라즈모닉스는 아직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그 기초 이론에 대한 많은 관심과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Philippe Lalanne 교수의 "The complex-valued nature of the mode volume of photonics and plasmonic nanocavities"라는 강연에서와 같이 Lalanne. 나노 스케일에서의 제작과 이론이 함께 발전할 수 있다면, 가까운 장래에 이 분야에서 합리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강력한 빛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광응답형 소재와 광 로봇 관련 세션은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는데요, 광응답형 소재와 광 로봇의 흥미로운 동작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광화학 엘라스토머나 패턴화된 빛을 이용해 빛을 원격 액추에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 특히 아리 프리마기 교수의 'Shape-changing Materials Based on Light Robots '라는 아리 프리마기 교수의 논문은 눈에 안전한 빛의 힘으로 애벌레의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흥미로웠지만, 나에게는 나에게는 이 분야가 취미생활에 가깝게 느껴졌는데, 앞으로 이 분야가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궁금하다.

반면, 무질서 포토닉스는 불투명도 문제, 즉 나노 입자의 산란을 제어하여 백색 물질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노입자의 산란을 제어하여 백색 물질을 구현하는 방법인 불투명도 문제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적의 충진율과 형상을 도출하기 위해 복잡한 계산을 거쳐 TiO2를 대체하는 것이 목표다. 미백 산업용 제품을 대체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안전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제 연구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파이버 레이저의 솔리톤 생성에 초점을 맞춘 세션에서는 새로운 솔리톤 생성 방식은 소개되지 않았지만, "Polarization Soliton Dynamics in Linear" 등 성능 향상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새로운 솔리톤 생성 방식은 소개되지 않았지만, 미셸 샌더(Michelle Y. Sander) 교수의 "Polarization Soliton Dynamics in Linear 초고속 파이버 레이저"(Michelle Y. Sander 교수) - 고도로 도핑된 툴륨 파이버로 1GHz를 달성한 연구와 " Alphan Sennaroglu 교수의 "근적외선에서의 펨토초 펄스 발생을 위한 전압 제어형 그래핀 슈퍼커패시터" 등이 있다.

E. Ilday 교수의 "Ablation-cooled Laser-material Processing at GHz Repetition Rates" 논문에서 에서 사용되는 고출력 uJ 펄스 대신 100GHz 이상의 속도로 nJ 펄스를 이용한 절제 냉각으로 재료의 레이저 가공 방향을 전환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이는 펄스형 WGM 마이크로 레이저에 대한 우리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응용 분야이지만, 100GHz 이상의 펨토초 펄스를 발생시켜야만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100GHz 이상에서 발생해야 한다.

필자의 세션은 마지막 날 오후에 진행되어 청중이 많이 참석하지 않았고, 레이저 분야가 아니어서인지 질문도 많지 않았다. 를 통해 중요한 포인트나 문제점이 제기되지는 않았지만, 청중들의 관심은 감지되었다.

마지막으로 국제학술대회는 처음 경험해보는 좋은 경험이었고, 파이버 레이저와 마이크로 공진기 외에는 내가 얼마나 모르는 것이 많은지 깨닫게 해주었다. 더 많이 배우고 더 열심히 연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