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광공진기를 이용한 전광 로직 게이트 구축

Research

마이크로 광공진기를 이용한 전광 로직 게이트 구축

이론적 분석과 실증 과제 제시

마이크로 광 공진기를 이용한 로직 게이트 등의 전광 소자는 저소비전력, 신호의 다중화 등의 장점으로 실현이 기대되고 있지만, 아직 복잡한 광회로는 실증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출력의 파장이 일치하고, 모든 공진기의 공진 파장이 공통인 등 실제 시스템 구축에 이상적인 전광 로직 게이트의 구성을 제안하고 동작을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번에 제안하는 잔광 로직 게이트의 기본 소자는 그림 1에 나타낸 add-drop 계의 마이크로 링 공진기이다. 본 소자를 이용한 광 스위치의 원리를 소개하면, λ1은 빛이 입력되지 않을 때는 공진기 파장과 어긋나지만, 입력을 ON으로 하면 광카 효과에 의해 공진기의 공진 파장이 λ1과 일치하게 되고, 입력된 λ1 빛은 drop 측으로 출력됩니다(Fig. 1(왼쪽)). 는 공진주파수와의 이격이 너무 커서 공진기 내부로 빛이 들어오지 않고 그대로 투과되어 버린다(Fig. 1 중앙). 그러나 λ1과 λ2가 모두 ON일 때는 먼저 공진 주파수가 λ1과 일치하게 되고, 그 결과 λ2의 빛도 공진기 안으로 들어오게 되므로 공진 주파수가 더 변조되어 λ2와 일치하게 되고, 이번에는 λ1의 빛은 그대로 투과되고 λ2의 빛이 drop되게 된다.

그림 1 마이크로링 캐비티를 기반으로 한 커 스위치의 작동 원리

우리는 Fig. 1의 기본 소자를 조합하여 구성한 NAND 게이트를 분석하였다. 공진기는 모두 동일한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논리 게이트를 구성하기 위한 설계 파라미터는 공진기 조합 방식과 공진기 도파관 간의 결합뿐이다. 구성은 그림 2(a)에, 동작 검증 결과는 그림 2(b)에 나타내었으며, 그림 2(b)는 회로의 입출력을 나타내며, 원하는 NAND 동작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제안한 회로의 제작 오차의 영향과 입력 전력의 흔들림에 대한 내성 또한 이러한 광논리 회로에 대해 세계 최초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실증 실험을 염두에 두고 설계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으며, 우리는 앞으로 더 높은 흔들림 내성을 가진 구조를 찾아나갈 것이다.

그림 2 (a) 낸드 게이트의 포토닉 회로 설계 (b) CMT로 계산한 입출력 파형.

본 연구 결과는 Optics Express 22, 4466-4479 (2014)에 게재되었다.